요상한 정리병과 노잼인 성격 때문에 말머리와 딱딱한 제목을 달고 글을 씁니다.
편하게,, 편하게,,, 하면 좋겠습니다만 맘처럼 되지않는 현실.. ^_ㅠ
말머리부터 떼는게 좋을까요..?

각설하고 질문 두 가지는요,

  1. 알고리즘의 논리가 비평계와 시장 둘 다에 작용하는 것 같으신가요?(저는 좀 더 시장쪽의 얘기에 가깝다는 생각도 들어서요. 그렇다고 무의미하다는 것x!! 비평과 담론의 힘이 빠진 건 다른 원인이 있지 않을까..??)

  2. 비교적 빠르게(?) 미술계의 현장이 텍스트로 포착되는 것은 어떤 징후일지?(빠르다고 하기엔 이미 6-7년전 시작된 이야기긴 하지만... 뭔가 일찌감치 역사로 기록된다는 느낌? 전에도 이런 적이 있나요? ) 다들 어떤 위기감을 느끼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예감이나 전망은 없더라도 감지되는 변화에 화두를 띄우기 위함인지?(여러분 왜 아무말도 안하심? 이거 어떻게 생각하세요??의 느낌) 걍 궁금하더라고요.

그 외에 읽으면서 궁금증이 생기는 부분들도 있었는데, 시간을 할애하면서 다 같이 얘기할 거리는 아닐 것도 같아서..ㅎㅎ 메모랑 같이 줄줄이 써놓을게요!

하이라이트


규모 때문에 문자 그대로 볼 수도, 파악할 수도 없는 맹점의 차원 - 100p.

인체의 맹점은 수렴하는..?방향성의 느낌인데(곱씹어보면 굳이 그렇게 생각할 이유가 없음에도)
네트워크/데이터베이스의 맹점은 확산하는 방향성이 새로운 인상이었네요.

이 같은 데이터 범람을 '이론의 종말'로 규정한다. 이는 인과적 추론에 의해 모델을 설정해 세계를 설명하는 과학적 방법론이 상관관계에 기반한 통계학적 패턴으로 대체됨을 뜻한다. - 100p.

첫 장 부터 띵언파티,,, 넘 재밌어요

데이터로서 이미지의 증가는 단순히 미술계의 규모나 속도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미술을 규정하고, 가치를 부여하며, 생산 및 수용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 101p.

초록에서부터 얘기하시는 핵심 내용인데 다시한번 정리 차원에서!

뒤샹이 행한 것은 상품 가능한 형태로부터 물성을 해방시키기 위해 예술의 범주를 활용한 것이다. 반면 NFT 미술은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정보에서 사유재산을 추출하기 위해 예술의 범주를 도입한다. -105p.

딱 깔끔하게 정리된 문장인 것 같아 정리 차원에서22ㅎㅎ
개인적으로 NFT는 비록 상품으로 거래가 되고 있긴 하지만,
커뮤니티를 이루는 역할에 좀 더 의의와 가능성이 있지 않나 라고 생각을 합니다.

이제 우리는 개개의 질적 차별성에 기반한 가치 부여 시스템에 대량 이미지의 패턴과 통계에 입각한 데이터 통치학이 중첩되는 기묘한 풍경을 목도하고 있는 것이다. -117p.

정제되고, 명료하고, 아름답고, 현학적인 문장이어서 메모해용

각자의 관심사에 따라 구성된 타임라인이 제공하는 부분적인 정보는 동시대 미술 현장의 현황 및 지향에 대하 논의할 수 있는 공동의 지반이 사라졌음을 의미한다. -118p.

정말 공감하는 바이기도 하고, 한 편으론 너무 수동적으로 정보를 취하지 않았나 반성도 하고요. 국내외 뉴스, 매체 부지런히 찾아보고 업데이트 하기 약속🤙

정보 경제의 시대에는 가치가 상품이나 사물의 내재적 특성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검색 가능성에서 발생한다. 중요한 것은 잘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접속 가능성이다. 접속이 많고 흐름이 강할수록 힘이 커진다. -120p.

이 부분은 사실 의문을 품을 수 밖에 없었는데요. 진짜 오늘날의 문제인가? 라는 생각..
예전부터 공고한 사실 아닌지 해서요. 마케팅과 어그로의 중요성은 유구했고..
그래서 열심히 작업만 하고 홍보에 소홀한 작가들이 대외적인 인정과 관심을 받지 못해 한을 먹게 되지 않나...? 그래서 자기 작업 홍보하고 사교활동 하는 것도 작가의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지던 것 같은데(뇌피셜)

그 정도를 넘어설 정도여서 화두를 던지는 것인가? 싶기도 하네용

물론 검색 엔진의 논리가 미술계에도 스며들었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그 전의 미술계도 유명한 사람이 계속 유명해지지않았던가요..?
제가 보기에는 작가가 이전에 가시화되는 방식이
매체나 주요 기관/전시장 등에서 보여지는 것이었다면,
그 시스템이 전복되기보단 거기에 다른 힘의 축이 생긴 느낌?? 인 것 같아요.

글 전반적으로 지금의 현상을 비판하고 경계하는 것 같지만
제도/권력이 알고리즘으로 분화했다-라는 현상에 좀 더 초점이 맞는,,

+
그 세부 사례겠지만, 몇 년 전 부터 생겨나 점점 힘을 얻는(?) 전시관람계정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역할이나 영향 등 진짜 자유롭게 아무말)도 더불어 궁금해지더라구용(+콜렉터의 가시화도 어떤 흐름의 일부인지, 어떤 이유에서, 또 어떤 영향이 있는지 등등? '콘텐츠'로서 큐레이션 되는 미술?)

주석 44) 조슬릿은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이 오늘날 웅성거림(주목도)으로 대체되었다고 주장하며 아우라:희소성 = 웅성거림:포화도 라는 도식을 제시한다. -120p.

이렇게 정리해보니 서로 정반대의 방향성을 갖는 게 보이기도 하고요! 아우라는 웅성거림이 만들어내기도 하쥐만,,,

자본의 형태로 나타나는 합의와 편안함, 상식, 예측 가능성을 지향하는 알고리즘의 동종 선호는 미술의 존립 가치를 흔들 수 있다. -122p.

우려하는 지점을 너무 잘 알 것 같은 명료한 문장! 하지만 저는 사실 요즘... '현대미술', '동시대미술' 저만 지겹나요..? 뭔가 다들 이 지점에서 피로함을 느끼고 정체되어있다는 생각을 조금 해서.. 전투적 미술 멈춰!의 느낌. 물론 새로운 시각성을 개척하고 탐구하는거 넘 좋고 짜릿한데요. 새로운 시각성은 결국 사유에서 나온다는 것도 알고.. 저도 작업을 한다면 그런 가치를 추구하겟지만.. 그냥 그렇더라구요. (이런 저, 이미 알고리즘의 논리에 절여져 버린 것일지도..?)

대량 이미지의 수량 경제가 위협하는 것은 질문을 던지고 생각을 할 수 있는 잉여로서의 시간 그 자체다. 끊임없이 무언가를 하고 있어야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고 빠른 성과를 요구받는 효율 중심 패러다임에서 생산과 무관하게 멈춰서 현황에 대해 통찰하고 질문을 던지며 기존과 다른 생각을 하는 잔여의 시간의 입지는 갈수록 줄어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무용성이 미적 모더니티 이래 예술의 자율성의 근간이 아니었던가? 미술은 이제 어떻게 변할 것인가? -124p.

결론에 큰 거 오는ㅎㅎ 저도궁금,, 소실점 잃은 미술계의 행방은,,,(안잃엇을수도 제가 모르는걸수도!!)

데이비드 조슬릿은 동시대 새로운 비평 대상이 접속이라고 말했다. 연결 패턴들이 어떻게 포맷을 만들어내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동시대 비평가의 일이며, 접속의 밀도와 크기를 통해 가치가 만들어진다. -124p.

그냥 요즘 어렴풋이 들던 생각이기도 했는데요. 구조를 만들고 경험을 만드는게 유의미한 판인 것 같다.. 라는 생각. 사실 저는 그림그리는게 너무 좋지만!! 평면으로는 어떤 한계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요.. 그래도 그림그릴 거긴 합니다만,,,


간만에 미술 텍스트 읽으니까 넘 재밋네요!!!

글이 넘 명료하고 읽기 좋아서 더욱 즐거웟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번 제대로 이해한 것인가.. 의문투성이기때문에 글 올리기는 조금 부끄럽지만,,!

참고문헌도 흥미로운 텍스트가 많아서 가지를 뻗어나가기에 좋은 글이었습니다!
그간 충분히 논의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제가 소홀했던 것.. 반성 또 반성이고요(이제 읽는 일만 남았다!)

생각보다 글로벌한 현상인 것인가? 라는 생각도 들고요.

요즘 생각 줄이는 연습을 하고 있는데ㅎㅎ 다시 이런저런 생각도 들고요.

암튼 글이 너무 길었고,

다른 분들 생각도 궁금하네요!!

시지

각자의 관심사에 따라 구성된 타임라인이 제공하는 부분적인 정보는 동시대 미술 현장의 현황 및 지향에 대하 논의할 수 있는 공동의지반이 사라졌음을 의미한다. -118p.

-> 저도 이러한 커뮤니티가 존재하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 아무래도 학교가 그 역할을 하는 것 같은데 활성화되지 못한 학교도 존재하고 미대를 나오지 않은 사람들도 논의할 수 있는 곳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이러한 워크숍이 그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정보 경제의 시대에는 가치가 상품이나 사물의 내재적 특성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검색 가능성에서 발생한다. 중요한 것은 잘 만드는것이 아니라 접속 가능성이다. 접속이 많고 흐름이 강할수록 힘이 커진다. -120p.

-> 저도 이 구절을 가장 인상깊게 읽어서 이부분에 대해서 논의하면 좋을 것 같아요

몇 년 전 부터 생겨나 점점 힘을 얻는(?) 전시관람계정

-> 저는 이것도 sns 발달로 변하는 미술 시장에 맞게 같이 성장한 분야(?) 이지 않을까 싶어요. 아무래도 예술계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은 전시를 하나하나 다 찾아볼 시간도 그정도의 관심도 없다고 생각하는데 정리된 계정이 있다면 편하게 찾아볼 수 있다고 생각해서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beatsbits
@시지 푸힝 다시보니 왕길게 써놧네요 저.. 반성... 맞아요 미술하는 사람들 서로 교류 좀 햇으면..ㅠㅠㅠㅠㅠ 자기 확신이 중요한 분야라 다들 각개전투인건지,, 아날로그 아싸형 인간이 많아서 끼리끼리 뭉치는걸까요.. 전시계정은 몬가.. 미술시장이 커진거에 따른 현상인건지도 궁금하더라구요! 작은 매거진 역할을 하기도 하고.. 몰랐던 공간 놓치고 잇던 전시 소식 알게 되는 것두 좋죠..!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