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90

‘보통 그렇게 텍스트를 조형에 ‘부착’했을 때는, 양측 모두 역할이 붕괴하는 것 같아요.’

이미지와 텍스트 간의 관계성에 대해 이 글에서는 텍스트가 이미지에 기생하거나,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을 취한다고 써져 있는데 이런 관계성에 대해서는 생각해보지 않았던 주제라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이미지만 놓고 봤을 때와 텍스트를 참조하며 이미지를 봤을 때 간에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본래 이미지만 있을 때는 규정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열린… 무한한 공간이었던 것이 언어로 규정을 함으로써 하나하나의 요소마다 이름이 붙고 의미가 규정되어 진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비평글이 하는 역할도 와닿게 되었는데요, 어떤 비평가가 어떤 글을 쓰느냐에 따라 이미지가 직면하게 될 의미?가 고정적으로 규정된다고 느껴졌습니다. 혹은 영상작업이라면, 영상에 들어가는 자막이 어떤 내용이냐에 따라서도 같은 이미지가 다른 의미로 변할 수도 있는 것 같아요.

p.72

‘밈의 어조를 취하는 작품들도 쉽게 발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밈(meme)' 이 인터넷에서는 되게 활발하게 쓰이고 친구들끼리도 많이 주고 받는 이미지, 혹은 아주 짧게 움직이는 짤처럼 쓰이잖아요 일명 현대 사회의 새로운 소통방식이라고 생각되는데, 긴 언어가 아닌 단편적인 이미지...(심지어 유행하게 된 맥락을 알지 못하면 잘 모를 수밖에 없는 이미지..) 이런 밈이 어디서부터 명칭이 붙여졌는지 알아봤는데 이 언어가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출간한 <이기적 유전자(1976)>에서 처음 쓰인 학술용어라고 하네요..

도킨스가 처음 사용했던 '밈'은 미메시스에서 따온 단어로, '인간의 유전자처럼 자기복제적 특징을 지니며 번식해 대를 이어서 전해져 오는 사상이나 종교,이념 같은 정신적 사유'로 정의했다고 합니다. 즉, 밈은 사람들 사이에서 구전을 통해 재생산되는 문화적 현상을 총칭한다고 하는데 되게 학문적인 용어에서 출발해서 요즘에 이르기까지 널리 쓰이는데 그 심층적인 맥락이 밈이 내포하는 이미지성과 맞닿아 있다고 느꼈어요.

밈이 생산되는 과정을 보면 필연적인 이유보다는, 그냥 서로 다른 이미지들끼리 섞이다보니, 혹은 영화나 드라마 같은 긴 영상에서 짧게 추출해온 짤이 유행을 타서 어쩌다보니 밈으로 쓰이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쉽게 이해되고, 쉽게 이해된다는 건 뭔가 보는 사람과 밈 간의 관계성이 되게 느슨하게 연결된다고 생각돼요. 그냥 내가 이걸 꼭 무겁게 생각하지 않아도, 상대에게 말을 대신하는 정도로 가볍게 보내고, 상대방도 그걸 받고 굳이 답장하지 않아도 대충 읽고 넘길 수 있는...? 밈이 이미지로 생산되지만 유통과정은 메시지를 대신하면서도 그 메시지의 무게감은 굉장히 휘발성적인 느낌인 것 같아요.

그래서 이 자료의 p.87 에 가면 텍스트와 조형언어 간의 관계성에 대해 얘기하면서 미메시스에 대한 내용도 다루는데,

텍스트 - 조형언어 , 그리고 현대 사회의 밈이 총체적으로 미메시스라는 기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느꼈어요. (또 재밌는건 밈이 유전자 코드에서부터 유래한 언어라는 것..이 다시금 포스트휴먼을 생각나게 하네요...밈도 자연적 세계에서 유전자가 계승되는 과정과 비슷하게 경쟁하고 변이하고 자연선택되는 과정을 거쳐 더 큰 파급력을 갖게 되는)

p.87

'미메시스(모방) 는 지금도 이차적이고 하등한 것으로 이야기되는데, 그러한 점에서 텍스트를 조형 언어로 단순하게 재현하는 것은 번역이 아니라 열화이지 않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단순 미메시스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개인의 서사를 역사에 포개는 작업을 해야 하는 것 같아요. 개인의 욕망을 작품 내에서 상호 접합 시켜 직접 차용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 매개점들을 드러내야 역사화되는 지점이 생기는 것이죠.

뭔가 동감되는 말이라기보다는, 참 어려운 지점이라는 생각이 들어 인용해보았습니다. 개인의 서사를 역사에 포개서 역사화시키는 의무감?이 현대 예술에서 꼭 필요한 소양일까? 라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그런 개인의 서사를 역사화시키는... 작업은 양혜규 작가님이 떠올랐는데(맞게 예시를 들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언론에서 다루는 z세대(정말 지겹도록 듣지만, 정확하게 뭔지 잘 파악은 안되는..)에 도래할 현대 예술의 이미지는 어떤 이미지가 될지, 너무 궁금하네요... 또 한편으로는 작품은 비평가나 역사의 언어에 의해 그 위치와 장르, 의미가 규정될 수밖에 없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며.. 글 마무리하겠습니다.

자료들 읽으면서 어렵기도 하지만 새로운 생각들도 배워가는 것 같아요

근래에 폭우가 심한데 다들 큰 피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번주 목요일에 만나요:) 감사합니다.